1장, 사람에 대한 이해
book review/Human Computer Interaction 개론 2007. 9. 19. 19:20 |1장, 사람에 대한 이해
Model Human Processor(MHP)
- perceptual system (입력시스템)
- motor system (출력시스템)
- cognitive system (인지시스템)
→ memory(기억장치) & processor(처리장치)
1. 사람의 입력장치
- HCI관점에서는 시각, 청각, 촉각이 제일 중요.
(1) 시각
- 명암 : 대상물체에서 발산되는 luminace에 따라 달라짐
- 크기 : 물체사이의 거리, 일반적으로 인지하고 있는 크기에 의해
결정
- 형태 : 맹락속에서 인지
* 시각의 정보 처리
과정
① Gestalt (형태주의)
- 전체는 부분의 합과 다르다.
- 모양에 따라서 구별하기도 하고, 근접한지 여부에 따라서 구별되기도 한다. (유사성 & 근접성의 원칙)
- 잘려지는 부분에 대해서 연속적으로 인지한다.
- 윤곽에 따라서 배경과의 거리를 인지한다.
② Constructivism (구성주의)
- 1단계 : 단순한 선, 색감을 통해서 즉시 인식할 수 있는
단계
- 2단계 : 1단계에서 인지한 시각적인 요소를 머리 속에서 결합하는
단계
- 3단계 : 3차원으로 인지하는 것.
** geons : 우리가 자주 목격하는 3차원의 시각정인 정보에 대한
의미
(2) 청각
- 음조, 음량, 음색으로 구성
* 청각 정보의 처리
- 청각은 순차적으로 처리 가능 & 기간이 짧음
-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, 정보를 얻을 수 있음
(3) 촉감
- 무게, 온도, 모양, 부피
** 정리시각 정보장점 : 다량의 정보 제공 가능 & 동시에 진행 가능단점 : 시선이 고정되어 집중해야 함청각정보장점 : 집중하지 않아도 들을 수 있음 & 여러가지를 동시에 할 수 있음단점 : 잡음이 있음 안됨 & 순차적으로 진행되어야 함 & 짧은 시간만 기억 가능촉각정보장점 : 표면의 질감을 느낄 수 있음 & 물체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음단점 : 순차적으로 진행 & 대상과 접촉하지 않으면 모름
2. 사람의 출력장치
(1) Fitt's Law
-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마우스를 이동시킬 때, 시간은 이동하는 거리에 비례하고,
목표의 크기에 반비례 한다.
- 중앙은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로, 중앙에서 멀어질 수록 상대적으로 큰 크기의 메뉴가
필요하다.
(2) 학습효과
- 학습을 할 수 록, 수행시 걸리는 시간은 줄어든다.
3. 사람의 기억장치
(1) Sensory memory
(감각기억)
- iconic memory : 시각기억 - 1초 미만 / 17개의
정보
- echonic memory : 청각기억 - 4초 미만 / 5개의 정보
- haptic memory : 촉각기억
(2) Working memory
(작업기억)
- 기억장치 : articulatory loop(음운고리) &
visuospatial sketchpad(시공간 스케치판) / 청각 기억 - 기억의 내용을 반복하는 장치로 이루어짐
- 통제장치 : central exesutive (중앙 집행부) - 청각, 이미지 등의
정보를 부호화하고 저장, 인출한다.
→ 조금이라도 오래 기억하기 위해서는 시각과 청각을 적절히 활용해야 한다.
* 작동원리 : 해석된 정보가 기억되는 장치
- chunk단위로 쪼개서 기억을 하면 좋음 : 3~5개 정도
(3) Long-term memory
(장기기억)
* 구성요소
- declatrative memory(서술기억)
- procedural memory(절차기억)
- semantic memory(의미적기억)
- episodic memory(일회적기억)
* 작동원리
- encoding(부호화) : 부호의 깊이, 부호화의 시간과 간격, 스스로 능동적으로
했는지.
- storage(저장) : 새로 저장된 정보는 이미 저장된 정보에 간섭 효과를
일으킨다. 그래서 머리 속에는 남아 있으나, 제대로 기억할 수 없는...
- retrieval(인출) : free recall(자유회상), cued
recall(힌트회상), recognition(재인)
→ HCI에서는 재인시키는 과정이 가장 중요함
4. 문제해결 방법
- 연산법 & 발견법
- 발견법 : 차이감소법 & 수단-목표 분석법
(1) Differnce reduction
(차이감소법)
- 현상태와 목표 사이의 차이를 줄여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
- 오류에 빠질 수 있음
(2) Means - Ends Analysis (수단 -
목표 분석법)
- differnce reduction(차이감소법) &
subgoaling(하위목표법의 설정)
5. 의사결정의 오류
- framing error (프레임오류)
- elicitation error (질문오류)
- alternative error (대안오류)
6. 추론
(1) inductive reasoning (귀납적 추론)
- 자료를 기반으로 하는 실제적인 추론 방법 /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
없음
* 오류들
- availability heuristics (가용성 발견법) : 기억에 있는 것이
상대적으로 발생 확률이 높다고 생각하는 오류
- base rate error (기준 비율 오류) : 모집단의 기준 비율을 무시하고
생각하는 오류
- confirmation bias (긍적적인 편견) : 자신의 가설과 맞는 증거만
찾으려고 하는 오류
(2) deductive reasoning (연역적 추론)
- 수학적, 논리적인 추론 방법 / 옳고 그름을 판단할 수 있음
* 오류들
- form error(형식 오류) : 부분을 전체라고, 또는 전체를 부분으로 생각하는
오류
- 선택에 대한 오류